자연을 생각하는 골재 Vol31
2022. 3호 | 통권 31호 43 42 자연을 생각 하는 골재 국가별 골재 품종별 소비 실태 전 세계 골재 생산량의 품종별 점유비를 보면, 2021년을 기준으로 쇄석(crushed rock)이 240억톤으로써 56.6%를 점유하고 있으며, 천연골재(sand & gravel)은 171억톤으로서 40.3%를차지하여주종 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골재 품종은 점유비가 미미한 수준인데, 제조골재(manufactured aggregates) 0.3%, 그리고재생 골재(recycled aggregates) 2.5%수준으로 나타났다. 2021년을 기 준으로 쇄석(crushed rock)의 점유비가 높은 국가를 살펴보면, 한 국 75.9%, 일본 72.2%, 중국 71.1%, UAE 100%, 말레이시아 73.5% 등을 들 수 있다. 반면,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공화국, 인도 등은 천연골재의점유비가상대적으로높게나타났다. 한국은쇄석골재 의 주요 공급원인 산림골재의 공급량이 전체 골재 공급량의 40% 내외에 불과하여 외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편이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총 골재 생산량에서 쇄석의 점유비가 75.9%로서 매우 높게 나타난 이유는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암석이나 토사 를활용하여이를선별및파쇄공정을거쳐공급되는 ‘선별파쇄골 재’를 쇄석의 범위에 포함하였기 때문이다. 인구대비 골재 생산량 인구 대비 골재 생산량을 보면, 전 세계 평균은 1인당 5.3톤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3인 가족 기준으로 1년간 15톤 덤프트럭 1대 분 량의 골재를 소비한다는 것으로서, 골재 소비량이 전 세계적으로 상당히 방대한 규모라는 점을 알 수 있다. 국가별로 인구 1인당 골 재 생산량을 보면, 중국 13.6톤, UAE 14.5톤, 캐나다 11.2톤 등으로 서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도 인구 1인당 7.5톤 규모로서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골재채취장 수 및 채취 규모 채석장 등 골재채취장(quarries/pits) 통계를 보면, 전 세계적으 로 20만 7,530개소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인도 45,000개소, 멕시코 20,000개소, 중국 17,500개소, 미국 10,250개 소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는 약 1,000개소로 나타났다. 골재채취장 1개소당 1년간평균채취량을보면, 전세계평균은 20 만 4,067톤으로나타났다. 국가별로는 UAE가 158만톤, 중국이 112 만톤으로서골재채취장 1개소당채취량규모가매우높게나타났 다. 이는 전 세계 평균이 골재채취장 1개소당 20만톤 규모라는 점 과 비교할 때 5배 이상 높은 수치이다. 즉, 중국의 골재 생산량이 매우거대한수준이라는점을알수있다. 우리나라는골재채취장 1개소당 채취량은 39만톤 규모로서, 일본(32만 7,273톤)과 유사한 수준으로나타났으며, 미국(23만 8,829톤), 유럽평균(11만 9,392톤) 에 비하여는 골재 채취장 규모가 큰 것으로 추정된다. 소결 이상에서 국제골재협회(GAIN)에서 제공한 각국의 골재생산통계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전 세계 쇄석의 점유비가 55%를 차지하여 주 종을이루고있으며, 점유비가점차증가하는것으로분석되었다. 우 리나라의경우쇄석의점유비가 75.9%로서조사대상국가가운데쇄 석의점유비가가장높게나타났다. 이는천연골재의공급량이감소 하고 있는 상태에서 골재 수요가 높게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런데 우리나라의 쇄석골재 통계는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암석이 나토사를활용하는선별파쇄골재가포함되어있으며, 더구나그규 모가 쇄석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외국과 다른 특 성이 있다. 외국의 경우 우리나라의 선별파쇄골재와 같은 골재 공 급은특수한사례이다. 따라서전세계쇄석, 즉, 산림골재의사용이 보편화되어있으며, 수요가증가하고있다는점을인식할수있다. 국제골재협회(GAIN)란 국제골재협회 (GAIN)는 각 지역 골재협회들의 네트워크로서 업 계의 생산성 개선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활동하고 있습니 다. 2010년에 설립된 GAIN 은 현재 유럽연합협회, 미국, 라틴아메 리카 연합협회, 호주, 뉴질랜드, 아랍에미리트, 말레이시아, 인도, 일본, 중국, 한국 등 각 국가의 협회들이 가입하여 활발한 교류를 하고 있습니다. 각국 정부기관 및 유엔환경계획 (UNEP)에서도 골 재 정책과 데이터 관련하여 GAIN전문가들에게 자문을 구하는 등 GAIN은국제적인골재전문가의네트워크로자리매김하고있습니 다. 한국골재협회는 2020년 5월에 가입하여 정책과 골재산업 전 반에 대한 대화를 이어가고 있으며, 지속적인 발표와 홍보를 통해 한국골재산업의 위상을 널리 알리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의 골재 생산 통계 분석 및 대한민국과 비교 Issue & Focus 전 세계 골재 생산량 추이 국제골재협회(GAIN)에서취합및추정한 2021년전세계골재생산 량은 총 423억톤 규모로 나타났다. 또한, 2022년에는 골재 생산량 이 427억톤으로 0.9% 증가하고, 2023년에는 434억톤으로서 1.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골재 품종별로는 2021년의 경우 쇄석 (crushed rock)이 239억 7,700만톤이 생산되었고, 천연골재(sand & gravel)는 170억 6,400만톤이 생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로 보면, 쇄석(crushed rock)의 점유비는 2019년 55.2%에서 2023 년에는 56.2%로서매년소폭증가하는경향을보일것으로관측되 었다. 반면 천연골재(sand & gravel)는 2019년 42.0%에서 2023년 40.5%로서소폭감소할것으로관측되었다. 또, 재생골재(recycled aggregates)의 점유비는 2019년 2.4%에서 2023년에는 2.7%로서 지속적으로증가할것으로전망되었다. 전세계골재생산량통계를 분석해보면, 쇄석의 생산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러나 대체골재원으로서 제조골재, 인공골재의 생산량은 미미한 수 준이며, 그대안으로서아직은사용량이낮은수준이지만재생골재 의생산량이지속적으로 증가하고있음을확인할 수 있다. 전 세계 골재 생산량 추이 골재 생산량이 가장 큰 국가는 중국으로서, 2021년의 경우 197억 톤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 세계 골재 생산량의 거의 절반인 46.5%에 달하는 거대한 양으로서, 미국(24억 4,800만톤) 의 8배, 인도(51억 2,500만톤)의 3.8배, 한국(3억 9천만톤)의 50배 에 달하는 규모이다. 국가별로 보면, 일본의 골재 생산량은 최근 20여 년간 감소 추세를 보였는데, 2021년의 경우 일본의 골재 생 산량은 3억 6천만톤으로서 한국보다 오히려 낮은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일본의 건설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으며, 목조 주택이 많아서 골재 투입 원단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세계 각국의 골재 생산 통계 분석 및 대한민국과 비교 최민수, 황미나, 김원득박사 2019 Actual 2020 Actual 2021 Actual 2022 Est'd 2023 Guess 총 생산량(Total Production) 43,922 41,970 42,350 42,717 43,393 전년비(%) - -4.4% 0.9% 0.9% 1.6% 골재 품종별 쇄석 (Crushed Rock) 24,250 23,629 23,977 24,117 24,407 천연골재 (Sand & Gravel) 18,529 17,215 17,170 17,347 17,688 제조골재 (Manufactured Aggregates) 101 124 138 138 138 경량골재 (Lightweight Aggregates) - - - - - 재생골재 (Recycled Aggregates) 1,041 1,002 1,065 1,115 1,160 <표-1> 연도별 품종별 전 세계 골재 생산량 2019 Actual 2020 Actual 2021 Actual 2022 Est'd 2023 Guess 쇄석 (Crushed Rock) 55.2 56.3 56.6 56.5 56.2 천연골재 (Sand & Gravel) 42.2 41.0 40.6 40.6 40.7 제조골재 (Manufactured Aggregates) 0.2 0.3 0.3 0.3 0.3 경량골재 (Lightweight Aggregates) 0.0 0.0 0.0 0.0 0.0 재생골재 (Recycled Aggregates) 2.4 2.4 2.5 2.6 2.7 총 생산량 (Total Production) 100.0 100.0 100.0 100.0 100.0 <표-2> 전 세계 골재생산량의 품종별 점유비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8000 20000 South Korea Japan USA China Europe (EU27+UK+EFTA) New Zealand Australia Canada Mexico Argentina Brazil Colombia South Africa UAE Malaysia India 본 원고는 국제골재협회(GAIN : Global Aggregates Information Network) 에서각국의골재생산통계를취합하고, 비회원국가의골재 생산량을 추정하여 발표한 전 세계 골재 생산량 통계를 토대로 각 국의 골재 소비 실태 및 산업 구조를 분석하였음. 본 분석에 사용한 통계는 국제골재협회(GAIN)에서 제공한 통계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별도의검증이나통계상조정을하지않았음 골재 생산량 (백만톤) 0.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South Korea Japan USA China Europe (EU27+UK+EFTA) New Zealand Australia Canada Mexico Argentina Brazil Colombia South Africa UAE Malaysia India 2.8 7.5 7.4 13.6 5.9 8.6 8.2 11.2 2.7 1.6 3.1 2.8 2.6 14.5 1.9 3.7 골재 생산량 (백만톤)
Made with FlippingBook
RkJQdWJsaXNoZXIy MzY4OT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