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을 생각하는 골재 Vol40

2024. 4호 | 통권 40호 17 가될수 없으니 전국 700~1,000여개의 골재 산지중겨우 1~2% 만이 KS 생산업체였다. 그러나, 크고작은건설물의붕괴사고가발생할때마다콘크리트의강도부족문제가제 기되었는데, 강도 부족 원인 중 하나로 골재의 저품질화가 제기되어 품질향상 대책을 마련 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2022년 국토교통부의 비영리법인으로 (재)한국골재산업 연구원이 출범하게 되면서 골재채취법에 따라 전국 골재 산지에 대하여 2022년 6월 8일부 터 연 1회의 정기 검사를 진행함으로써 품질 문제에 신경을 쓰기 시작하였는데, 2년 이상이 지난현시점에서는골재의품질도많이향상되었고, 품질관리에대하여도많은관심을갖게 되었다. 그러나, 골재를생산및품질관리를수행하는담당자의경우, 건축·토목등으로골 재를 공부한 전문가가 아닌 경우가 많다 보니 전문용어라든가 규격을 정하게 된 배경 등을 알지 못하여답답한 경우가많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지면에서는 이번 회로부터 이와 같은 골재의 품질문제에대하여비전문가라도알기쉽게이야기형태로꾸며게재함으로써이해를돕고 자한다. 그첫번째로이번회에서는골재의의미, 정의및역할등골재가무엇인지에대한 것으로 「골재란?」에 대하여기술해보도록한다. 골재의 의미 골재는 한문으로 「骨材」라고 한다. 즉, 「骨」은 「뼈골」로서 골재라고 하면 그림 1과 같은 뼈 가되는재료이다. 다른말로는골격(骨格)이라고도한다. 따라서힘센사람이되려면뼈가튼 튼해야한다. 혹자는힘센사람을보면 「저사람은통뼈인가봐」라고하는등뼈는힘을상징 하기도한다. 그러나만약근육없이뼈만있다고하면힘을쓸수있을까?절대로힘을쓸수 없다. 그렇다면힘이세려면어떻게하면될것인가? 뼈가튼튼한것은기본이다. 통뼈와같 이튼튼한뼈대를바탕으로하고, 이와같은뼈를근육으로단단히잡아매주어야만하는것 이다. 결국, 힘의세기는뼈를단단히잡아매주는근육의양과세기가좌우하게되는것이다. 콘크리트인경우도이와유사하다. 즉, 뼈에해당하는모래, 자갈의골재는힘을받아도파 괴되지 않아야 하는 것이 기본이다. 그러면서 강도의 크기 결정은 근육에 해당하는 시멘트 와물의반죽물인시멘트풀{밀가루를이용하여물과함께끓여서만든풀을밀가루풀이라 고 하는 것처럼 이것은 시멘트 풀(Cement paste)이라 한다.}이 좌우하는데, 물을 많이 넣고 시멘트를 적게 넣은 풀은 약한 근육, 반대로 물은 적게 넣고 시멘트를 많이 넣은 풀은 강한 근육이 되어 결국 콘크리트의 강도는 기본적으로 물과 시멘트의 비율(Water/Cement;W/C) 에좌우되어결정되는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힘을 받아 파괴된 콘크리트 면을 보면 다음의 표 1과 같은 3가지 중의 하나또는 2가지이상으로복합된형태를보인다. 즉, 일반강도의콘크리트라면절대로골재 는 파괴되지 않고 ①또는 ②의 파괴 형태로 이루어져야 정상이다. 고강도 콘크리트로서 골 재강도이상의콘크리트라고하면이제는골재가파괴되는것도볼수있는데, 초고강도콘 크리트라면골재가특히강해야 함은 당연한 이치가 될것이다. 그림 1 골재에 비유되는 뼈의 일례

RkJQdWJsaXNoZXIy MzY4OTY5